
1. 상복부 초음파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이용해 내부깊숙히 있는 장기를 간편하고 쉽게 진단할수 있습니다.
닥터목 내과클리닉에서는 최신기종의 컬러 도플러 초음파를 보유하여
상복부, 갑상선, 경동맥, 근골격계 초음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간의 실질, 간내 혈관의 크기, 간의 미만성 또는 국소적 병소, 담낭 및 담관의 구조 및 확장 여부 췌장, 담낭, 신장, 비장 및 주요복부장기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관찰 및 진단하는 것이다.
◈ 복부 초음파 검사가 필요한 경우 ◈
- 담낭, 간, 췌장 및 신장의 질환과 관련된 상복부 통증의 원인을 알아보려 할때 시행- 담석을 발견하고자 할 때 시행
- 복부의 종괴나 암종의 발견 및 평가시 시행- 복부 혈관의 확장(동맥류) 및 기타 이상을 발견하고자할 때 시행
- 간이나 비장의 이상을 조사하려할 때, 즉 간경변증, 간염, 황달, 복수 등을 조사하려고 시행- 노폐색증 등의 신장질환의 평가가 필요할 때 시행
초음파 검사(Ultrasonography)



2. 갑상선 초음파

최근들어 갑상선암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갑상선 및 주변 기관의 형태적 이상에 대해서 평가하는 방법으로 갑상선 결절에 대해서 다른 어떤 검사보다도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는 검사로 조기에 갑상선 종양등을 발견할수 있습니다.
◈ 갑상선 초음파를 시행하는 경우 ◈
- 갑상선 종괴가 촉지되는 경우 병변의 모양, 크기, 범위를 알기 위해서 시행합니다.
- 만져지지 않는 결절이 발견되었을때
- 미만성 갑상선 질환에서 악성이 의심되는 종괴가 발견되었을 때
- 갑상선암 수술 후 재발이나 전이를 판단할 때
- 초음파 검사에서 보이는 암이 의심되는 종괴를 세침흡인생검 또는 조직검사를 할 때 영상 유도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3. 경동맥 초음파
경동맥은 뇌로 가는 혈류의 80% 이상을 담당하는 목 부위의 중요한 혈관을 말합니다.
뇌혈관이 막히는 원인은 동맥경화에 의해 내경이 좁아진 부위에 혈전이 생기고, 그 혈전이 떨어져서 뇌혈관을 막거나
고혈압에 의해 말초 뇌혈관 벽의 손상이 발생했을 때 입니다. 경동맥의 협착 정도에 따라 뇌의 일부분이 손상 될 수 있으며,
혈관벽에 생긴 혈전이 떨어져 나와 뇌동맥을 막으면 심각한 허혈성 뇌경색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